7분 남짓의 짧은 강의다.
혼란스럽고, 답답하고, 우울하다면
오늘의 테드 강의를 보고
그 감정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오늘의 테드 강사 John Koenig는 자신이 새로운 단어 사전을 만들었다.
책 제목은 <이름없는 슬픔의 싸움, The Dictionary of Obscure Sorrows> 다.
그는 감정의 언어에 있는 구멍 을 찾아 ,
언어로 이야기하는 방법을 연구하다가
자기가 직접 단어를 만들어내기로 결심한다.
한국어로는 표현할 수 없는 단어들을
다른 나라말로는 표현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그리스어의 'lachesism(라케시즘)'이란 단어는
재난을 갈망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폴란드어의 'jouska(주스카)'라는 단어는
자기 머릿속에서 펼쳐지는 가상의 대화를 뜻한다.
독일어의 'zielschmerz(질슈머츠)'라는 단어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갖게 될 것에 대한 두려움을 뜻한다.
이처럼, 우리는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모호한 감정들 을 많이 갖고 있다.
(그 감정들을 그나마 최대한 많은 단어로 표현해 낼 수 있는 언어가 독일어다)
그 감정이 한 개의 단어로 정의되었을 때,
우리는 비로소 혼자라는 느낌을 덜 수 있다.
우리가 모두 비슷한 감정을 느끼고 있구나,
그런 공감대 를 느끼게 해주는 것은
언어의 강력한 힘이다.
중국어와 같은 표의문자보다는
표음문자가 오히려 새로운 단어를 만들기
적합한 언어라는 생각이 든다.
단어의 의미 는 단어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닌,
우리가 그 안에 스스로 담는 것이기 때문이다.
저자 또한 자신의 책 안에서
'Sonder'라는 단어를 만들어냈다.
Sonder는 우리 모두가 자신을 주인공으로,
나머지 사람들을 엑스트라로 생각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하지만 지금은 단어 뜻에 변형이 생겨, 이런 뜻으로 쓰이고 있다
* SONDER :
모든 사람들이 나와 같이
생생하고 복잡한 삶 을
살아가고 있다는 것에 대한 깨달음
자,
이렇게 모두가 느끼는 감정을
하나의 단어로 표현했을 때
우리는 비로소 그 감정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
참으로 아이러니하지 않은가?
저자는 혼란스러울 때면
혼란 속에서 순서를 깨닫게 해주는 '사전'을 집어들 것을 추천한다.
사전 속에서 내가 느끼는 이 복잡한 무언가를 설명해줄 단어 를 찾아보기를.
우리 스스로를 담고 정의하기 위한 단어를 찾아가기를.
"To invent your own life's meaning is not easy,
but it's still allowed, and I think you'll be happier for the trouble."
인생의 의미를 만드는 것은 쉽지 않지만, 그래도 가능한 일이다.
그 쉽지 않은 과정을 통해 당신은 더 행복해질 것이다.
-Bill Watterson <Calvin and Hobbes>의 저자
꼭 한 번 추천하고 싶은
테드강의다.
Transcript of "Beautiful new words to describe obscure emotions"
TED Talk Subtitles and Transcript: John Koenig loves finding words that express our unarticulated feelings -- like "lachesism," the hunger for disaster, and "sonder," the realization that everyone else's lives are as complex and unknowable as our own. Here
www.ted.com
'불안을 줄이고 행복에 가까워지고 싶을 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세이추천] <나는 내 나이가 참 좋다>, 메리파이퍼 _내 나이에 만족할 수 있는 그 날까지 (0) | 2021.05.12 |
---|---|
[자기계발 책추천] <더 시스템, The System>, 스콧 애덤스 _실패만 해왔던 그가 성공적인 만화가가 되기까지의 여정 (8) | 2020.11.07 |
[에세이 추천] <비혼 1세대의 탄생>, 홍재희 _비혼주의 여성의 사이다같은 솔직한 목소리를 들려주다 (8) | 2020.11.02 |
[책추천] <언니들의 슬기로운 조직생활> _여자 롤모델이 필요한 이 시대의 모든 여성들을 위하여 (4) | 2020.09.22 |
[책추천] <불안, Status Anxiety>, 알랭 드 보통 _불안에 대한 이해와 위로를 담은 철학책 (0) | 2020.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