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함께 독서해요)/재테크 이야기 (같이 부자됩시다 :)

[경제책추천] <부의 대이동>, 오건영 _경제와 역사를 이해하기 쉽게 풀어쓰다

by 파랑코끼리 2022. 7. 29.
728x90
반응형

지난 100년의 역사 속 시기별로 당시 경제상황과 금, 달러 등 금융 자산의 움직임을 풀어낸 책이다. 거시경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싶은 사람이라면 오건영 님의 책을 꼭 읽어보았으면 좋겠다. 

 

거시경제는 책 몇 권을 읽는다고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매일매일 조금씩 시장을 관찰하며 흐름 속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저자는 페이스북에도 매일같이 주요 거시경제 이벤트와 코멘트를 올리고 있기 때문에, 관심있는 분들이라면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다. 

 

책은 크게 3개의 파트 & 최종 정리로 깔끔하게 나뉘어져 있다. 

 

 

 


환율의 움직임에 영향 미치는 요인


1. 외화자금 움직임
(무역 흑자↑ 국내 달러 자금↑ 환율 ↓)
(외국인 유입↑ 주가 ↑ 환율↓)
(외국인 유입↑ 환율↓ 채권 가격↑ 국채금리↓ 부동산 가격↑)

 

2. 국채
장기국채 : 시중금리 하락 시 수혜 (국채 보유자, 시중금리가 오를 것 같을 때는 국채를 빨리 팔아야지 (국채가격 떨어질테니까))
기준금리 인상 : 시중금리 오를 것으로 기대함 - 그러면 채권가격 떨어질테니 빨리 채권을 팔려는 사람이 많아짐.
국채발행 증가 : 정부 경기부양책 재원 마련 목적의 국채발행 증가 - 시중 자금 빨아들임 - 시중에 돈 구하기 어려워짐 - 돈을 구하기 위해 더 높은 금리를 부르게 됨. (국채발행 증가 = 국채금리 상승)

 

3. 금리
한국은행 기준금리에 7일물 RP금리를 맞추려는 작업 = 공개시장조작
- 기준금리 인하 & 경기부양 위한 부양책 재원 마련 위해 10년물 장기국채 발행 → 기준금리 인하해도 시중금리(국채금리)가 올라가는 디커플링 현상 발생
+ 외국인 투자자들 본인 현금이 급해지니 한국 장기국채 매도하고 나감

ex) '20.3월 한국은행 기준금리 0.75%로 인하 → 보통은 국채 3, 10년물 금리 하락하지만, 이때 크게 튀어오름
→ 그 이유는, 시장에 비관론 강해져서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국채 팔고 나갔기 때문 (국채금리 상승)
: 10년 장기국채 발행 증가 + 외국인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도로 인한 금리 상승

 

 

 

*시장금리 : 보통 중장기 국채금리, 회사채 금리를 뜻한다
*회사채 금리 = 국채금리 + a (회사채 스프레드)

*회사채의 움직임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 초단기 금리 인하 → 장기국채금리 같이 하락 → 회사채도 하락 .... 하면 좋겠지만,
경기가 안좋아지면서 회사 신용도 악화 → 회사채 스프레드를 더 높게 붙여야함(채권시장 투자자 유치 목적) > 오히려 회사채 금리 상승

 

 

환율은 정말 다양한 요인으로 움직인다

 

 

금융위기를 전후한 글로벌 경제 위기


2000년대 미국 가계대출 급증 (수출이 안되니까 내수로 눈돌려, 주택시장 활성화 진행)
2000년 IT버블 붕괴
2001년 9.11 테러 - 달러 급격히 약세 전환 (2000~2008년까지 약 10년간 달러 약세)
(당시 FED의장 앨런 그린스펀 - 당시 6%의 기준금리를 내려 2003년에는 1%까지 낮아짐)
2006년 상반기부터 미국 주택시장 무너짐

 


2008년 금융위기 발생 →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적완화 시작
2010-2012 달러 약세 (2010-2012 유럽 재정위기 기간, 2011 동일본 대지진 - 2013 아베노믹스 시작)
2013년 IT산업 중심 성장세 - 전세계가 저성장으로 신음할때 미국혼자 성장 - 돈이 미국으로 몰림 (미국 주식/ 채권) - 달러화 강세
2013.5월 기준금리 인상 암시
2014년 말 양적완화 종료
2015.12월 금리인상 ~ 2018.12월까지 9차례 기준금리 인상 (2.25~2.50%까지 인상)
2018.12월 당시, fed의 과도한 기준금리 인상 부각, 미국 주식시장 크게 흔들림
(트럼프 : 과도한 기준금리 인상이 미국 금융시장, 미국 경제를 망치고 있다고 발언)

 

미국 외에 모든 국가가 시름시름 앓기 시작한다
일본 : 2013년 양적완화 단행 ~ 현재까지 엔화 풀기 지속 중
유럽 : 2015.3월 유럽중앙은행(ECB) 양적완화 돌입 ('22년 7월, 11년만에 금리 인상 단행)
중국 : 2014년 6차례 기준금리 인하

 


금융위기에도 달러가 강세였던 이유


1. fed의 기준금리 인상(이렇게 다른 나라들은 금리 내리고 통화완화하는데, 미국은 반대로 금리를 인상하니까)
2. 다른나라 대비 미국의 독보적 성장

 


달러가 영원히 강세가 아닐 이유



1. 미국은 양적완화 중

2019년 미중 무역전쟁  - 서로의 수출품에 관세를 엄청 때린다  ==  글로벌 성장을 좀 먹는 결과
- FED 미국 경기둔화 우려하여 2019.7~10월 세 차례 기준금리 인하 (2.25~2.5 → 1.5~1.75%) = 보험적 금리인하 (선제적으로)
- 2019년 10월 파월은 ‘이제 추가적 금리인하는 없다’고 못을 박았지만, '20.3월 코로나때문에 내림.
- 2020.3월 원래 7천억 규모 진행하려 했던 양적완화 - 무제한으로 바꾸고 1개월만에 2조달러 규모 시중에 공급


2. 성장이 쉽지 않다

2017년 하반기 트럼프(maga make america greate again)  대규모 감세 시작  → 미국 재정적자 증가 (=미래세대가 쓸 돈을 현재로 당겨쓰는것)


3. 미국 셰일오일 산업 위축

2005년 이후 미국 셰일 산업 발전
2010년 미국 원유채굴량 증가 → 원유공급이 늘어나면서 가격 하락 발생
2016년 OPEC 원유 감산 (미국은 증산 및 시장점유율 늘림)
2017년 미국이 1위 그다음이 사우디,러시아
2020.3월 코로나로 원유 가격 크게 하락, 생산원가도 못뽑아냄


(*일반적으로 경기좋을때 국가는 증세를 해서 국고재원을 확보, 경기 안좋을 때 경기 부양 - 세금걷기 , 국채 발행하기)

(무역전쟁 심각했던 과거 : 1930년 대공황

 1910년 1차 세계대전 - 미국은 타격이 없어 자동차 산업 발달 - 미국 국민 소득 및 소비 증가 - 기업 투자 증가 - 생산 과잉되어 마진 적어짐 - 미국 주식시장 붕괴
1929년 미국 금융시장 붕괴 - 미국 정부는 내수산업 살리려고 무역 장벽을 높게 쌓았다 - 타 국가의 보복 관세 - 글로벌 교역이 사라졌고 수요 줄고 가격 하락, 마진 감소, 고용 축소 …

 

 


[참고] 위안화

한국은 중국에 수출을 많이한다.
한국 원이 위안화에 비해 절상되면, 중국에 수출하는 데 불리해진다
그래서 한국원화는 위안화랑 같이 움직이는 경향

 

 


[참고] 원화

*펀더멘탈이 강하다
: 국가부채 낮은 수준,  구조적 무역 흑자 (웬만해서는 흑자), 세계 9위 수준 외환보유고, 안정적 환율

 

*한국 국채가 인기가 많은 이유
1. 한국경제 및 원화 안정성
2. 글로벌 연기금 증가에 따른 수요 증가(고령화)

 

*엔화와의 관계

① 엔고일때 한국 수출 호황

1994-1995년 일본 엔고, 원화는 상대적으로 가치 절하되어 한국의 수출경쟁력이 높았다 : PC붐으로 반도체 수출 크게 증가
국내 기업은 투자를 늘려 제품생산 늘리려 했고, 우리나라보다 미국에서 빌리는 이자가 더 낮았기에 달러빚 증가↑↑

 

② 엔저일때 힘들어짐

1995.4월 일본 역플라자 합의 - 엔화 약세를 용인받음 (플라자 합의의 반대 개념)
엔화 약세에 따라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한국 타격
당시 우리나라는 관리변동환율제 사용 (달러당 800원 수준에 고정시키기 위해 외환보유고에서 돈 풀어서 환율 관리)
1997년 엔 약세, 수출 급감, 달러부채 증가 등 한국 위기



* 달러 스마일 : 자산시장 붕괴, 경기의 급격한 위축을 상징한다
(예) 2001년 이후 달러 약세 - 2008.11월 달러 강세 때의 스마일 곡선

① 2001.9.11 테러 발생
재정 정책(미국 정부의 경기부양책), 통화정책 (FED 금리인하 등) 6%에서 1%로 낮춤, 달러 약세 - 자산시장 들썩들썩 - 달러 대출이 크게 증가 (미국 금리도 낮은데 환율도 낮아지니까 우리나라 기업들은 달러 빚으로 싸게 대출하는 게 이득)


② 금리인상 단행
2004년부터 2006.6월까지 1%에서 5.25%까지 금리인상 단행 (빚진 사람들 이자 갑자기 불어나서 망함)
2008 금융위기, 2011 유럽 재정위기, 2015 중국 부채위기, 2020 코로나19 등 모두 달러 스마일을 띄는 달러 강세 형태


 

 

(좌) 블랙먼데이  (우) 석유파동


[참고] 경기 둔화의 역사 

1987 미국 블랙먼데이 (10.19)
: 미국 주가 대폭락 다우존스 공업주 평균이 전일 대비 22.61% 하락
1970 석유파동에 인플레이션 위기
1960 베트남전 불황

 

반응형

댓글